•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Monthly Archives: October 2017

31 Oct

동하(東夏)가 대륙백제-끝: 남북조(南北朝)를 통일한 수나라:

Lee Mosol Blog 0 0

동하(東夏)가 대륙백제-3 끝: 남북조(南北朝)를 통일한 수나라: 한국 상고사의 핵심이 되는 삼국지 동이전에 나타난 는 새로운 학설을 발표 했다. 이를 입증 하는 과정에서 는 단서를 찾았다 . 조위의 뒤를 이은 사마씨의 왕조를 다루면서, 진서(晉書)에 고 풀이 했다. 지금 훈고학(訓詁學)이란 이름을 옛적에는 고훈 (古訓, 故訓)이란 글자를 많이 써고 풀 해자를 써서 해고 (解故, 解誥, 解詁)라 하는 등, 같은 뜻을 여러 글자로 기록해 왔다. 같은 현상이 수지(數至)이다. 한전(漢典)에 至数가(至數)와 같다고 했다 . 진서 동이열전에는 문제가 제상으로 임명 했다는 사람을 옛적에 주 무왕에게 활을…..

Read more

28 Oct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3:

Lee Mosol Blog 0 0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3: 부여의 선조는 햇님의 후손: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에서 다룬 시기가 삼국사기에는 고구려 미천왕(美川王, 재위 : 300년 ~ 331년)에서 부터 광개토대왕((廣開土王, 재위: 391년? ~ 412년) 집권 시대 까지다. 서진의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고 있던 대륙 백제를 사가들은 아직 모용씨라는 동부선비의 한 부족으로 인식한다. 부여의 어원을 다룰 때에 를 지적 했다. 모용 씨는 부여의 한 부족이 였다. 그들이 먼저 고조선의 옛 땅을 찾으려고 고구려 서쪽에서 싸웠다 . 고구려는 대륙 백제의 명맥을 이어가던 모용외(慕容廆)에게 293년에 처음으로 친입을 당하고 3년후 295년에는 서천왕의 묘를 수탈…..

Read more

28 Oct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2:

Lee Mosol Blog 0 0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2: 수수께끼가 풀린다. 북위 말엽 산동성 임치(山東省淄博市臨淄) 태생의 최홍(崔鴻)이 쓴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에 실린 백제는 그 영역이 중원이였다는 사실을 그렸다 . 이 시절에 고구려가 서쪽에 있던, 연(燕)나라 위(魏)나라와 자주 전쟁을 했던 사실이 삼국사기 고구려 편에 실려 있다 .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에 나타나는 신라와 백제는 마땅히 남만주 땅이여야 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는 결론이 나온다. 앞에서 본바와 같이 서진이 망할 징조는 건국 시초에 나타났다. 사마염이 원주민이 였던 고조선의 유민을 농락 하여 불만을 샀다. 발해연안에 살던 동부 선비파와 한해를 관장 하던 대륙 백제는 서진…..

Read more

28 Oct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1:

Lee Mosol Blog 0 0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1: 고조선의 후예들이 조위의 뒤를 이은 서진(西晉, 265년- 317년)을 멸망 시키고 여러 나라를 세워 자웅을 다투던 시기를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304년 ~ 439년)라 하고, 그 시기를 기록한 역사서를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라고 한다. 회수(淮水) 이남으로 도망 가서 사마예(司馬睿)가 남경(南京)에 세운 사마씨의 망명 왕조가 동진이다. 사마씨의 한 자손이 낭야에 봉해저 290년에는 그가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 졌다. 다음 해에 수도 낙양에서 발생한 팔왕의 난 (八王-亂, 291년 ~ 306년)에 살아나 강남으로 도망 갔다. 그가 동진(東晉; 317년 ~ 420년) 의 첫 황제다. 양자강 이남에서 동진의 뒤를…..

Read more

23 Oct

동하(東夏)가 대륙백제-2:

Lee Mosol Blog 0 0

동하(東夏)가 대륙백제-2: 너무 상상 밖의 발설이라 “제씨천동하(齊氏擅東夏)가 대륙백제를 비하하여 부른 이름이라는 새로운 학설”을 좀더 설명 한다. 동하(東夏)란 무슨 뜻인가? 진서(晉書)에는 선륭동하(宣隆東夏)란 문구가 서진(西晉, 265년 ~ 317년)의3대 황제이자 마지막인 회황제 (西晉 懷皇帝, 284년 ~ 313년) 때에 나온다 . 선륭 (宣隆)이란 불교에서 쓰던 낱말을 사음한 글자로 손윤(孫倫(宣隆)念住禪修法) 이라고도 기록 했다. 불교 서적에는 선윤서(宣隆西)란 문구고 많이 보인다. 선륭동하(宣隆東夏)란 문구에서 하가 목적어 동(東)자는 형용사로 썼다. 삼국지에는 후한 말에 동탁(董卓, ? ~ 192년) 이 184년 황건적 난과 189년에 발생한 십상시의 난의 혼란기를 다룬 무제기에 나온다…..

Read more

20 Oct

동하(東夏)가 대륙백제-1:

Lee Mosol Blog 0 0

동하(東夏)가 대륙백제: 주서(周書)에 실린 “齊氏擅東夏”라고 비하 하여 부른 나라가 대륙백제의 전성기 였다. 이 나라를 흔히 북제(北齊)라고 불렀다. 북사(北史)에는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에 선비족 고씨(高氏)가 북제(北齊, 550년 ~ 577년)를 세워 27년간 존제 한 기록을 제본기(齊本紀)에 남겼다 . 같은 내용이 태평어람 (太平御覽 北齊高歡)등 여러 곳에 실렸다 . 그 내용의 출처를 북제서 (北齊書)라고 했다. 북제의 사관을 지냈던 이덕림의 유업을 이어 받은 아들 이백약(李百藥, 564-647)이 북제서를 완성 했다. 북제의 건국에서 멸망 까지를 목격한 사람들이 남긴 기록이다.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에는 동하를 요해 갈석산 일대(東夏一作遼碣)라 했다 . 동하(東夏)에…..

Read more

15 Oct

진서 본기 (晉書 帝紀)-5: 진무제(晉武帝)를 방문한 마한왕(馬韓王)이 대륙 백제왕:

Lee Mosol Blog 0 0

진서 본기 (晉書 帝紀)-5: 진무제(晉武帝)를 방문한 마한왕(馬韓王)이 대륙 백제왕: 사마중달의 아들 사마염이 조위을 찬탈하여 세운 서진(西晉;265年-316年)은 한 세대도 체우지 못하고 왕자들이 들고 일어난 팔왕의 난(八王-亂, 291년 ~ 306년)이 10여년간 계속 되여 결국 하북 평원을 떠나 강남으로 도망을 갔다. 이때 부터 대륙 백제가 있던 하북 평원의 역사는 오호 16국의 역사 속에 숨어 있다. 그러나 중국기록에는 고조선의 후예들 중에서 내륙을 생활 무대로 했던 기마민족의 역사 만을 남기고, 해양으로 퍼저 한해(翰海)를 통치 했던 삼한의 후예들에 관한 역사는 중국 땅에서는 완전히 밀어 버려 한반도에서…..

Read more

15 Oct

진서 본기 (晉書 帝紀)-6: 십육국춘추 (十六國春秋)에서 찾아본 대륙백제:

Lee Mosol Blog 0 0

모용씨(慕容 氏)가 대륙 백제의 명맥을 이어 갔다: 필자는 “부여(夫餘, 扶餘)의 어원”에 관하여 여러 번 글을 올렸다. 새로운 사료를 찾았기에 다시 한 번 부여에 관해 설명 한다. 삼한에서 동북 아시아에 있었던 삼국이 나타났다. 고구려와 백제의 건국 설화에는 부여란 이름이 나온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아직 부여의 어원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조 말기에 실학파 유생,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년-1836년)의 아방강역고 (我邦疆域考)나 이규경(李圭景, 1788년-1856년)의 “五洲衍文長箋散稿” “三韓始末辨證說”에도 부여에 관한 기록이 약하다. 삼국사기에는 나라 이름은 “扶餘” 로 나오고, 부여(夫餘)는 “夫餘神”이라는 문구로 나온다. 삼국유사에는 부여(夫餘)란 글자 마저 없고, “扶餘”로만…..

Read more

11 Oct

진서 본기 (晉書 帝紀)-4: 동왜(東倭)는 어디있었나?

Lee Mosol Blog 0 0

진서 본기 (晉書 帝紀)-4: 동왜(東倭)는 어디있었나? 중국문헌에는 동왜(東倭)란 문구가, 사마중달의 업적을 기록한 진서 제기 일 (晉書•帝紀一)에 단 한번 나온다 . 요동(遼東)의 서쪽을 요서(遼西)라 부르듯이 동왜(東倭)의 서쪽에 왜(倭)라고 부르던 부족이 있었다는 뜻이 분명 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동왜(東倭)에서 바쳤다는 공물은 개선장군으로 돌아온 사마중달이 양평성에서 갖고온 조선(朝鮮)의 귀한 조각물이 뚜렸하다. 공손연이 숨어 있던 조선(朝鮮)의 옛 수도 양평성에서 온 사신이 갖고온 선물을 동왜(東倭)에서 왔다고 했다. 다른 삼한의 후예라고 볼수있는 사절단은 요동만 북쪽 수계라고 판정되는 약수 이남의 선비왕과 동왜(東倭) 뿐이다. 동왜(東倭)를 일본열도라고…..

Read more

09 Oct

진서 본기 (晉書 帝紀)-3: 동이(東夷)와 삼한(三韓)의 어원

Lee Mosol Blog 0 0

진서 본기 (晉書 帝紀)-3: 동이(東夷)와 삼한(三韓)의 어원 중국기록에서 대륙 백제란 기록이 없다. 이를 찾아내야 하는 첫 걸음은 시야를 넖혀 빠짐없이 찾아 보아야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백제(百濟)가 마한(馬韓)땅에서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 . 마한은 삼한의 하나고, 삼한은 동이의 한 지류라고 볼수 있다. 모두들 삼한(三韓)이라고 부르는 명사는 진수의 삼국지에 처음 나온다. 삼국지 동이전 (東夷傳)을 제탕한 후한서에는 왕제(王制)에 실린 내용을 인용하여 동쪽에 사는 사람들을 이(夷)라 했고, 공자님이 그 지역에 가서 살고 싶다고 하신 곳이라 했다 . 위진시대를 대표하는 삼국지( 三國志)와 진서(晉書)에는 구이(九夷) 사이(四夷)…..

Read more

← Older posts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