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Monthly Archives: December 2018

31 Dec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7: 齊桓公伐山戎 孤竹 新考.

Lee Mosol Blog 0 0

Happy New Year! I would like to present a special report at the end of year 2018.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7:  제 환공의 고조선 친입. 齊桓公伐山戎 孤竹 新考. 유령의 나라 고죽국이 고조선 영역에 있었다. 이를 새로운 시각에서 살펴 본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왕 중흥이란 20여년 간이 지난 후에는 옛 고조선 땅에 살던 려민 (黎民,九黎,句麗)들이 강성 하여 서주는 동쪽으로 쫓겨 와 춘추 전국 시대로 너머가게 되였다. 이들이 제후국 진(晉) 땅의 영역, 즉 태행산맥이 흐르는 산서성과 하북성을 한조위(韓、趙、魏) 세 가문이…..

Read more

28 Dec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6: 공자님이 구리의 땅에 가서 살고 싶다 (子欲居九夷)한 곳은 어딘가요?

Lee Mosol Blog 0 0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6: 공자님이 구리의 땅에 가서 살고 싶다 (子欲居九夷)한 곳은 어딘가요?   여러분!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역사의 흐름 속에서  어떤  사건을  전후좌우가 시대와 장소에 합당 하게 설명 해야지 않나요? 이 사건은 마땅히 공자님 이전에 구리(九夷)란 글자가 어떻게 쓰이였나를 우선 알아야 될게 아닙니까?   논어에는 춘추오패로 알려진 진문공(晉文公, 재위 : 기원전 636년 ~ 기원전 628년) 과 제 환공(齊桓公; 재위: 기원전 685년 ~ 기원전 643년)은 나오지만, 앞서 인용한 자공이 공자에게 물었던 진문공이 참으로 천자를 불렀습니까 라는 문구 “晉文公實召天子”는 없습니다[1].  한편, 공자님께서 <말하기를 아꼈다는 뜻>으로 풀이한 자한 (論語 子罕) 편에는…..

Read more

28 Dec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5: 고조선의 중흥이 발조선(發朝鮮):

Lee Mosol Blog 0 0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5:   고조선의 중흥이 발조선(發朝鮮):   어떻게 주(周)족에게 빼았겼던 해지연안을 되찾았습니까?   네. 좋은 질문입니다. 저도 여러 모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철기시대의 등장으로 좋은 무기를 만들어 주족을 몰아냈다는 결론이 나오더군요.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서부 무왕이 이괘를 만들어 단공에게 주었고, 서주에서는 원주민을 잡아다 주물에 글을 세기는 일을 시켰고,  주 선왕이 공을 세운 괵공 (虢公) 에게 주물(虢仲盨)을 만들어 주었습니다[1]. 이 두 주물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금속 성분과 주조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왔나를 알수 있겠죠.   관자 지수(管子 地數)편에 황제와 백고(伯高)의 대화에서…..

Read more

22 Dec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4: 기자(箕子)가 갔다는 조선 땅은 어디였나요?

Lee Mosol Blog 0 0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4: 기자(箕子)가 갔다는 조선 땅은 어디였나요?   네. 요지음 옛적에 풀이한 내용을 되돌아 보니 기자(箕子)를 봉했다는 조선이 중원에 있었을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춘추시대에는 옛 고조선 유목민의 지도자를 선우(單于)라고 했서요[1]. 글자를 보세요. 제단 위에 서있는 한 사람이 아닙니까?   제단위에 홀로서 있는 사람, 즉 단군(壇君)을 뜻한 글자를 이리저리 바꾸어 여러 글자로 적었서요. 제례 의식을 맡아 보는 사람이라 예군(禮君)이라고도 했습니다. 재단 위에 서있는 고조선 (古朝鮮)의 지도자를  간략 하여 음이 같은 다른 글자 (鮮虞, 鮮于)로 기록 했습니다. 그  중에 숨겨 놓은 …..

Read more

21 Dec

천자(天子)와 천왕(天王)이 어떻게 다른가요? -보충설명:

Lee Mosol Blog 0 0

천자(天子)와 천왕(天王)이 어떻게 다른가요? -보충설명:   흉노는 옛부터 햇 속에 살던 세 발 달린 새(三足烏)가 햇님의 정기를 타고 내려온 부족이라 하여 오손(烏孫)이라 했습니다. 그들이 세운 나라를 오손국 또는 월지국(月支國)이라 했서요. 서역 사람들은 그들의 동쪽 땅을 진단(震旦) 이라고 불렀습니다. 중원 문화권에서는 유목민의 지도자를 훈역 하여 천자 (天子) 라고 기록 했습니다[1].  그들이 빛을 따라 동쪽으로 와서 산서성에 군림 했습니다. 그들의 성역이였던 해지연안을 주(周)족에게 빼았겼다 되찾았습니다. 이를 중국사서에는 서주가 동쪽으로 쫓겨가서 그때 부터를 춘추 시대라 합니다.   그 시대 역사서인 춘추 삼전에 천자(天子)…..

Read more

19 Dec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3: 천자(天子)와 천왕(天王)이 어떻게 다른가요?

Lee Mosol Blog 0 0

천자(天子)와 천왕(天王)이 어떻게 다른가요?   흉노는 옛부터 햇 속에 살던 세 발 달린 새(三足烏)가 햇님의 정기를 타고 내려온 부족이라 하여 오손(烏孫)이라 했습니다. 그들이 세운 나라를 오손국 또는 월지국(月支國)이라 했서요. 서역 사람들은 그들의 동쪽 땅을 진단(震旦) 이라고 불렀습니다. 중원 문화권에서는 유목민의 지도자를 훈역 하여 천자 (天子) 라고 기록 했습니다[1].  그들이 빛을 따라 동쪽으로 와서 산서성에 군림 했습니다. 그들의 성역이였던 해지연안을 주(周)족에게 빼았겼다 되찾았습니다. 이를 중국사서에는 서주가 동쪽으로 쫓겨가서 그때 부터를 춘추 시대라 합니다.   그 시대 역사서인 춘추 삼전에 천자(天子) 와…..

Read more

18 Dec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2:

Lee Mosol Blog 0 0

앞서 <글자 속에 역사가 숨어 있다-5>는 표제로 예맥(濊貊)이란 글자 다음에 “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를 다루다가 Internet Digital Library의 단점과 약점 의 실예를 들었습니다.  이번에 찾아 보니까 전에 보이지 않았던 “古稱朝鮮”란 문구가 한전 (漢典)에 시렸습니다.  상서에 나오는 양곡(暘谷)에 고조선(朝鮮)이 있었다고 했서요[1]. 이곳이 <삼국유사에 나오는 아사달>입니다. 양곡에서 날일자(日)를 물수자로 바꾸어 탕곡(湯谷)이라  했서요. 그 곳이 요순 임금 시절의 영역을 치수로 성공한 지역 변두리란 뜻에  당우대우지제 (唐虞, 大禹之際)라한 곳에서 계/설(契)이 자리를 잡았서요. 그가 일 하던 계곡에서 상(商) 나라가 나타났다고 합니다[2]. 이곳에서 동이가 처음으로…..

Read more

17 Dec

중고등학생에게 설명하는 역사학-1:

Lee Mosol Blog 0 0

중고등학생에게 설명하는 역사학:   동북아 고대사 시민강좌-1:   다른 사람들이 못 찾은 고조선 발생지를 어떻게 찾으셨나요?   여러분들 생각해 보세요.   마땅히 고조선이 발생 했다는 시대와 장소에서 찾아 보아야  되지 않나요? 그게 어딘 대요?   일연 스님은 위서에 적혀 있기를 요 임금 시대라 했지요?  상서라고 하는 동양 고전에 요임금이 맨 첫머리에 나옵니다. 상서란 윗사람이 여러 사람들과 예기한 내용이 적혀 있서요. 모택동어록 처럼 높은 사람의 어록이란 뜻입니다. 그 책이 동양 역사의 시작입니다.  요 임금이 살던  곳이 황하문명의 발생지 입니다. 그곳이 홍수로…..

Read more

10 Dec

서낭당의 장승이 이정표로 바뀐 사연:

Lee Mosol Blog 0 0

환웅 (桓雄) 천왕을 기리는 장승을 산해경에 웅상 (雄常)으로   실렸서요. 이리저리 뒤바꾸어 황제라는 가공 인물을 만들었습니다. 예기 오제덕(五帝德)에는 공자가 처음으로 황제를 소전(少典)의 아들 헌원 (軒轅)이고, 황제의 손이 전욱 고양씨라고 했습다[1].  헌원 (軒轅)이란 글자는 밨이 훤하게 동이 튼다는 상성글자 환/훤(桓)자를 느리게 발음한 두 글자 입니다.   소전의 아들 헌원(少典 軒轅)이란 네 글자는  음과 뜻을 이리저리 바꾸어 적은 글자다.  호천의 아들 훤(昊天之子曰桓, 小昊)이란 표현을 그렇게 바꾸었다고 본다. 어용학자의 일원이 였던 허진이 만든 설문 해자에서는 훤(桓:亭郵表也)을 장승 (푯말, totem pole)을 뜻한 글자라고 했다[2]. 한국에서는…..

Read more

08 Dec

글자 속에 역사가 숨어 있다-5: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

Lee Mosol Blog 0 0

앞서 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에 있다고 하셨는데, 이를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네. 그럴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찾아 보니까 전에 보이지 않았던 “古稱朝鮮”란 문구가 한전 (漢典)에 시렸습니다. 전에는 없었서요. 이러한 상황이  Internet Digital Library의 약점 입니다. 그 이외에도 저의 두 영문본이 출판된 이후 중국에서 관장하는 위키에는 종전에 없던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상서 요전에는 우리(嵎夷)가 양곡(宅嵎夷,曰暘谷)에 산다고 했서요[1]. 옛적에  조선이라 하던 곳(古稱朝鮮)이산서성에 있었다는 증거 입니다[2].  저가 주장 하던<산서성을 진(晉)이라한 글자를 풀어 보면 조선과 같은 뜻이다>라고 한 말이 옳다는 증거 입니다. 그…..

Read more

← Older posts

Recent Posts

  • 바둑(圍碁.行く. go. Go game)의 시원(始原): 시대와 장소.
  • 글자 속에 역사가 있다-Series.
  • 단군조선의 후손들에게 이책을 바침니다.
  • (no title)
  • 아로자등묘(阿鲁柴登墓)에서 발굴된 금관

Recent Comments

  • Don S. Lee MD on 부여의 시말:
  • Seowa etymologist on Silla from Zhina(Southern China) to Korean Peninsula.
  • James Kim on 약우 (若愚)
  • James Kim on 약우 (若愚)
  • James Kim on 약우 (若愚)

Archives

  • January 2025
  • November 2024
  • May 2024
  • February 2024
  • October 2023
  • August 2023
  • June 2023
  • May 2023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