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Monthly Archives: February 2019

25 Feb

이두(吏讀)의 성립 시기:

Lee Mosol Blog 0 0

이두(吏讀)의 성립 시기: 옛적에 한글이 나타나기 전에 관아에서 일하던 이서(吏胥)들이 작성한  한자 표기의 문체를  이두문이라 부른다.  이두문을 사용하기 시작한 때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열여전 하희(列女傳 孽嬖  陳女夏姬)편 에는 시경 용풍 체(재)동“詩經 鄘風 蝃蝀”을 인용한 문구가 있다. 채동이란 편명는 <벌래(거미)가 먹이를 잡으려고  줄로 망를 처 (蝃, 螮)놓았던 덭에 벌래 (벌래 충)가 걸린 현상(蝀, 音東。 螮蝀,詳螮字註。音董)이 나무 사이로 햇살이 비추어 뚜렸하게 나타난 상형을 묘사한 복합 글자다[1].  시경 비풍 일월( 邶風日月)에도  보이는 내어지인혜 (乃如之人兮, 乃如之人也)란  문구가 있다. 이는  <너어(乃는 汝로. 汝也。奴亥切. 한국 지방어로 너를 니, you라고도…..

Read more

23 Feb

환인(桓因)이 옳은 글자:

Lee Mosol Blog 0 0

환인(桓因)이 옳은 글자:   삼국유사 서문 (三國遺事 校訂三國遺事敘、例言) 에서 옛 책이라 글자를 확하기 어려웠다고 몇몇 실예를 들었다. 그 하나가 인(因)자 라고 했다[1].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조선을 세웠다는 사료의 근거를 위서라 하고, 왕검의 선조에 관한 사연의 출처는 <古記에 이르기를  환인(桓因; 밝음의 기원,Origin of light-opposite of darkness, 天主, 昊天上帝), 즉 제석 (謂帝釋)의 아들 환웅>이라고 했다[2]. 문맥을 보면 어떤 특정 지역 “國” 을 뜻한 글자가 아니라, 개념적인 표현으로,환웅천왕의 혈통을 의인체로 표현했다.   인(因)자는 단군왕검 백익(伯翳)을 뜻한 글자 “이 彝”자와 같이 오랫적 부터 써오던…..

Read more

21 Feb

이괘(利簋)명문-4:  箕子의 행적을 추적하여  찾은 조선의 위치:

Lee Mosol Blog 0 0

이괘(利簋)명문-4:  箕子의 행적을 추적하여  찾은 조선의 위치:   기원 전 1046년에 목야전(牧野之戰)에 패한 상(商)나라는 하북평원에서 수도를 여러번 옮겼다. 반경(盤庚)이 5번 쩨로 옮겼다는 마지막 수도가 은(殷) 이다[1]. 그곳에서 상나라는 번창 했다. 기자가  패허가 된 옛 성터를   지나면서 (過故殷虛) 맥수가(麥秀歌) 를 읊었다[2].은허는 하남성(河南省) 안양 시 서북쪽 안양현(安陽縣) 으로 확인 되어 그 곳에서 많은 갑골문이 발굴 되었다   기자가 조선에 갔다 돌아 와서 주 왕실에 참배 하고 나서 옛 궁터를 지났다. 주 왕실에 참배하고 배푼 연회를 읊은 시문이 시경 소아 록명 (詩經 小雅  鹿鳴)…..

Read more

20 Feb

시경을 한국사람들이 풀어 보자.

Lee Mosol Blog 0 0

시경을 한국사람들이 풀어 보자.   요순 시절에 단군왕검이 평양(平壤)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을 건국 했다는 지역이 중국 산서성 해지 연안 이라고 논증 했다. 그 당시에 부르던 노래를 묶은 책이 유목민의 민요라 하여 毛詩라 했다. 시경  특히 국풍에는 고조선 역사가 많이 숨어 있다.   서주를 건국한 주족은 고조선 발생지에 살던 사름들과는 언어가 다르다고 시경에 실린 문구를 근거로 논증 했다. 언제인가는 시경을 한국사람들이 다시 풀이 해야 한다는 강한 충동을 느낍니다. 한학을 많이 하신분들 은 어떻게 생가 하시는지요? 협조를 바랍니다.   여기 하나 더…..

Read more

18 Feb

利簋-3:  利簋銘文은 어순이 다르다.

Lee Mosol Blog 0 0

利簋-3:  利簋銘文은 어순이 다르다. 필자는 옛적에 산서성에 살던 사람들은 한글 어순과 같은 언어를 썼다고 논증 했다. 그러나 利簋銘文은 어순이 다르다. 그 원인 서주를 세운 부족은 함곡관 동쪽에서 들어온 언어가 다른 사람들이 었다는 사료를 찾았다. 함곡관 동쪽에서 옛 구주(九州)영역에 들어온 주 무왕의 아들 성왕의 지시에 따라 영백 (榮伯)이 그 지역에 살던 쟁인을 시켜 청동으로  괘를 만들었다[1].  이를 만든 쟁인을  주 선왕 때는 산서성 지역 쟁인을 잡아다 노예로 궁정에서 금문을 색인 토록 했다. 강희 자전 예(隸)자 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2]. 주 선왕…..

Read more

17 Feb

利簋-2:  제터 단자를 박달나무 단자로:

Lee Mosol Blog 0 0

利簋-2:  제터 단자를 박달나무 단자로:   선공(旜公)이라고 풀이한 글자는 https://ctext.org/zh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금석문 이나 갑골문에 없었다.  이 글자 “旜”를 강희자전 에는 주예(周禮)에 있다 하나 보이지 않고, 그 문구를 “通帛為旃”라 했다[1]. 깃발 전(旃)자를 “旜”자로 바꾸어 사용 했다. 그 글자에는 큰 붉은 빛(大赤)이란 뜻, 즉 떠오르는 아침 해를 그린 단(旦)자가 있다. 붉은 색을 서주를 상징 하는 색으로 사용했다.  중국사람들이 경사스러운 행사에 붉은 색을 즐기는 시원이 되었다고 본다.   목야전 당시에는 “旜”이란 상형 글자 가 없었다는 증거다. 이괘에 나타난 금석문자는 어느 누가…..

Read more

16 Feb

克商之证——利簋. 利簋銘文:

Lee Mosol Blog 0 0

  동북아시아 상고사를 연구에는 서주 무왕이 풀어 주었다는 기자(箕子)를 연구 해야 한다. 앞으로 몇 차례에 걸처 무왕의 지시로 만들었다는 금석문 “利簋銘文”을 살펴 보고자 한다. 珷征商,隹甲子朝,歲鼎克昏,夙有商。辛未,王才闌啟,易又吏利金,用乍旜公寳尊彜-중국 필자의 글자 배열은 다음과 같다:끝에서 4번쩨 글자(旜公)가 단(壇)자다.   珷征商隹 甲子朝歲鼎, 克昏夙有商。辛未,王才闌啟易, 又吏利金用 乍旜公寳尊彜.     February 16, 2019

Read more

15 Feb

시경 소남 추우 詩經  召南 騶虞:  

Lee Mosol Blog 0 0

시경 소남 추우 詩經  召南 騶虞: 추우(騶虞)는 명사수, 즉 활쏘는 사람의 웃사람, 또는 복수로 활쏘는 사람들이란 뜻이다. 우차호(于嗟乎)는 옛 말로  감탄의 격려사다[1]. 우/어차(于嗟, 於嗟)잘했다는 뜻이다. 암퇘지 숫돼지(豵,豝)로 표시한 글자는 해지연안에 살던 원주민을 돼지(豕,  豚, 亥)들이라고 비하 해서 “遼東豕, 三豕涉河”란 문구가 나타 났다.   홍수가 범람 했던 옛 구주(九州)땅, 즉 고조선 지역에 들어와 성장 한 소위 서주의 성강지치(成康之治;기원전1017년-기원전961년)시절에 그 곳에 살던 원주민 소탕 (屠)작전을 찬미한 시문이 시경 벌단(伐檀)과 같이 소남 추우 (詩經  召南 騶虞)다[2].   필자의 설명을 참고하여 원문을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彼茁者葭、壹發五豝。于嗟乎騶虞……

Read more

08 Feb

Etymology of Han Commanderies

Lee Mosol Blog 0 0

Etymology of Han Commanderies Abstract: The Four Commanderies of Han漢四郡 is one of the most bitter pills to swallow for the Korean. It is a manipulated name for the benefit of Han invasion and widely advertised names along with the Great Wall in the history of Northeast Asia.   As of many other names written with Chinese logograms, scholars ought to please the Chinese Emperor under the Confucian value. They used derogatory names to their rivals. Any of the names of Four Commanderies weren’t provided…..

Read more

02 Feb

숙신씨(肅愼氏)와 현도씨(玄都氏):현도군(玄菟郡)의 어원

Lee Mosol Blog 0 0

단군 에게 양위 했다는 조선이 나타 나던 시절의 기록 입니다. 순 임금(舜有虞氏) 시절에 가까이에 살던 숙신씨(肅愼氏)가 활을 선물로 갖고 찾아 왔고, 멀리 북쪽에서 옥으로 장식한 보물(寶玉)을 갖고 온 현도씨(玄都氏)가 있었다 . 현도씨는 상나라 시조 설현왕(契玄王)을 뜻했다.그도 치수사업에 관여 했다. 숙신(肅愼)이란 글자에는 <엄숙하게 빛(辰)을 섬기는 마음을 가진 착한 사람>이란 뜻이 있다. 같은 글자가 국어 노어 (魯語) 와 춘추좌전에도 나온다 . 삼진은 해와 달과 별 (三辰,日月星也)을 뜻한다. 진(辰)자는 동쪽 또는 아침을 뜻한다. 진(辰fá /bhiæt bhiæt.화 볓) 훤하게 밝다는 뜻이고, <큰 진이 해(sun)다…..

Read more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