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Monthly Archives: July 2019

16 Jul

상서 우공편에 삼위(三危)란 글자:

Lee Mosol Blog 0 0

상서 우공편에 삼위(三危)란 글자: 위서에 이르기(魏書云)를 옛날에 환인(桓因)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 항상 천하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몹시 바랐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 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 보고 가이 홍익인간(弘益人間)이라 했다[.三國遺事:魏書云。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立都阿斯達經云無葉山。亦云白嶽。在白州地。或云在開城東。今白岳宮是開國號朝鮮。與高同時。古記云。昔有桓因謂帝釋也庶子桓雄。數意天下。貪求人世。父知子意。下視三危太伯可以弘益人間。乃授天符印三箇。遣往理之。雄率徒三千。降於太伯山頂即太伯今妙香山.]. 단군신화에 나오는 위(危)자는 사음자다. 설문해자에는 태위야(殆:危也)라 했다. 시경위풍에 나오는 올라가기 어려운 성벽“乘彼垝垣” 을 뜻한 글자라 했다[.詩經 國風 衛風 氓:氓之蚩蚩、抱布貿絲。匪來貿絲、來即我謀。送子涉淇、至于頓丘。 匪我愆期、子無良媒。將子無怒、秋以為期 乘彼垝垣、以望復關。不見復關、泣涕漣漣. ]. 이를 설명한 문구가 왕험성(王險城)이다. 험(險)자는 모든 사람들(僉)이 뽑은 지도자 검(儉)이 사는 곳을 뜻한 글자다. 중국 고전을 살펴 보면 위(危)자와 험(險)자는 단군왕검 백익을 뜻한 글자로 쓰이기도 했다[.危:〔古文〕說文》在高而懼也。从厃,人在厓上,自卪止之也。《徐曰》孝經,高而不危,《玉篇》不安貌。《廣韻》疾也。隤也,不正也。又《禮·儒行》有比黨而危之者。《註》危,欲毁害之也。又屋棟上也。《禮·喪大記》升自東榮,中屋履危。《疏》踐履屋棟高危處。又《韻會》宿名。三星。《左傳·襄二十八年註》書·禹貢》三危旣宅。《韻會》三峗,山名。通作危。史記 律書: 危,垝也. 說文解字:垝:毀垣也……

Read more

15 Jul

의문이 많은 사수(斯水)

Lee Mosol Blog 0 0

의문이 많은 사수(斯水) 삼국사기에는 주몽이 건너온 강이 사수(淹●水一名盖斯水. 淹●水或云蓋斯水)라 했다. 동명(東明)에 관한 같은 내용이 후한서와 태평어람에도 실렸다. 사수(掩㴲音斯水)를 건넜다고 했다[.太平御覽 夫餘:東明奔走,南至掩㴲音斯。水,以弓擊水,魚鱉皆聚浮水上,東明乘之得度,因至夫餘而王之焉]. 삼국유사에는 주몽이 건너온 강이 어느강인지 모르겠다(於是蒙與烏伊等三人為友。行至淹水今未詳)고 했다. 사수(斯水)의 사(斯;sī/si1/siɛ)자는 사음자가 분명 하다. 같은 음을 “虒,媤 斯 絲,㴲”란 글자로도 기록 했다. 시경 등 각종 고전에 많이 나오는 글자다[. 斯:《爾雅·釋言》斯,離也。《註》齊呂覽·報更篇》趙宣孟見桑下餓人,與之脯一朐,曰斯食之。《註》斯,析也。又《爾雅·釋詁》斯,此也。《易·解卦》朋至斯孚。《詩·召南》何斯違期。又《詩·小雅》鹿斯之奔。《疏》此鹿斯與詩·小雅》有兔斯首。《箋》斯,白也。今俗語斯白之斯作鮮。 《詩·大雅》王赫斯怒。 《集韻》或作撕,亦作廝. ]. 그러한 연유로 사수(斯水)란 여울은 고조선 사람들(斯,白也。今俗語斯白之斯作鮮)이 살던 전역에 흐터져 나타났다. 수경주에 사수(斯水)란 이름이 36번 적혔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사수는 단군조선 발생지에서 부터 조선이란 글자가 지나온 태행산맥을 따라 하북에서…..

Read more

Recent Posts

  • 삼신산 불로초의 대명사 영지버섯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새로운 고찰: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y 2023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