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Monthly Archives: June 2019

29 Jun

西周시대 금석문(銘文)이 고조선 지역 사람들이 쓰던 韓穢字

Lee Mosol Blog 0 0

무왕은 백익의 후손-숙진(肅慎)씨을 위해. 백어(白魚),필공이 양때 같이 이끌고 참전한 장면을 그린 “麾之以肱、畢來既升”란 시귀가 무양(祈父之什 無羊)편에 실렸다. 고조선의 발생지에 들어와 그곳 사람들을 사용하여 금석문을 만들었다.篆,掾書,隷書. 이괘(利簋)에 나타난 글자는 籒文-韓穢字

Read more

25 Jun

단군조선이 산서성에서 나타났다는 확증.

Lee Mosol Blog 0 0

단군조선이 산서성에서 나타났다는 확증. 우리 모두 아는 바와 같이 일연(一然)스님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남긴 삼국유사에 단군조선의 건국신화가 있다. 다행히도 출처를 위서(魏書)라고 했다(*[. 三國遺事:魏書云。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立都阿斯達經云無葉山。亦云白嶽。在白州地。或云在開城東。今白岳宮是開國號朝鮮。與高同時(堯時)。古記云。昔有桓因謂帝釋也庶子桓雄。數意天下。貪求人世。父知子. 三危太伯. ]) 단군신화를 기록한 사람이 살던 시대 부터 2,000년전에 단군왕검이 있었다. 아사달에 수도를 정했다. 요임금과 같은 시절(與高同時)이라 했다. 스님이 읽었던 위서는 진(晉)나라에서 분리되어 나타난 전국칠웅의 하나였던 위(魏,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25년)나라의 역사서가 분명 하다. 사기 위세가(史記 魏世家)에는 필공 고의 후손(畢公高之後)이다. 무왕이 상나라를 정벌하고 고를 필에 봉했다(而高封於畢) 하여 필을 성씨로 했다. 그 후에 서인이 되어 중국에 동화 되거나…..

Read more

18 Jun

삼위태백(三危太伯)의 삼위(三危)란 글자:

Lee Mosol Blog 0 0

삼위태백(三危太伯)의 삼위(三危)란 글자: 위서에 이르기(魏書云)를 옛날에 환인(桓因)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 항상 천하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몹시 바랐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 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 보고 가이 홍익인간(弘益人間)이라 했다[. 三國遺事:魏書云。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立都阿斯達經云無葉山。亦云白嶽。在白州地。或云在開城東。今白岳宮是開國號朝鮮。與高同時。古記云。昔有桓因謂帝釋也庶子桓雄。數意天下。貪求人世。父知子意。下視三危太伯可以弘益人間。乃授天符印三箇。遣往理之。雄率徒三千。降於太伯山頂即太伯今妙香山.]. 단군신화에 나오는 위(危)자는 사음자다. 설문해자에는 위태롭다(殆:危也).시경위풍에 나오는 올라가기 어려운 성벽“乘彼垝垣” 을 뜻한 글자라 했다. 중국 고전을 살펴 보면 후에는 단군왕검 백익을 뜻한 글자로 쓰이기도 했다[. 詩經 國風 衛風 氓:氓之蚩蚩、抱布貿絲。匪來貿絲、來即我謀。送子涉淇、至于頓丘。 匪我愆期、子無良媒。將子無怒、秋以為期 乘彼垝垣、以望復關。不見復關、泣涕漣漣.]. 한민족의 선조가 우랄 알타이산 남쪽에 있는 칸 탱그리(Khan Tengri Mountain) 일대에서 왔다는 증거다. 삼위(三危)란 글자는 상서 우서 순전(尚書 虞書 舜典)에…..

Read more

12 Jun

안동대장군 왜국왕(安東大將軍 倭國王)이 편지를 작성한 장소:

Lee Mosol Blog 0 0

안동대장군 왜국왕(安東大將軍 倭國王)이 편지를 작성한 장소: 앞서 한해(翰海)를 언제 어느 누가 처음으로 건넜나를 살펴 보았다. 중국 기록에 신라임나 가라(新羅 任那 加羅)를 다스렸다는 안동대장군 왜국왕(安東大將軍 倭國王)이 편지를 작성한 장소를 찾아 보기로 한다. 진서(晉書)에는 공손연이 숨었다 잡혔던 옛 졸본주 양평성 일대를 동왜(東倭)라고 했다(*[.晉書 帝紀第一:魏正始元年春正月,東倭重譯納貢,焉耆、危須諸國,弱水以南,鮮卑名王,皆遣使來獻。天子歸美宰輔,又增帝封邑。初,魏明帝好脩宮室,制度靡麗,百姓苦之。帝自遼東還,役者猶萬餘人,雕玩之物動以千計。至是皆奏罷之,節用務農,天下欣賴焉.]). 남제의 심약(沈約:441~513年)이 편술한 유송(劉宋:420년 ~ 479년) 역사서(宋書 夷蠻)에는 당시 유송의 해안선에 있던 여러 부족과 국가를 설명 했다(*[. 宋書 卷九十七列傳第五十七 夷蠻:居大海中洲上,相去或三五千里,遠者二三萬里,乘舶舉帆,道里不可詳知。外國諸夷雖言里數,非定實也.]): “왜는 바닷속 섬에 산다. 외국 여러 족속은 이수를 몰라 믿기가 어럽다. 흔히 3-천리 먼곳은 2-3만리를 배를 타고(乘舶舉帆)가는 길이라 거리(里數)를 자세히…..

Read more

10 Jun

의문의 안동대장군 왜국왕(安東大將軍 倭國王)이란 문구:

Lee Mosol Blog 0 0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의 세로운 고찰-2: 의문의 안동대장군 왜국왕(安東大將軍 倭國王)이란 문구: 동북아시아 상고사에는 왜왕(倭王,倭國王)이란 글자가 여러 시대와 장소에 나타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왜(倭國,倭人)자가 많이 나온다. 백제 본기에는 진사왕(辰斯王, 재위: 385년~392년) 때에 왜와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고구려 백제 신라 왜 가야제국이 모두 한해 서북쪽에서 나타난던 시절이다. 일본 구주후쿠오카 시(福岡市) 해안에서는 왜왕인(委奴國王)이 발견 되었다. 일본에서 국보로 다루는 옥새의 글자를 중국에서는 왜소 왜(倭)자로 바꾸어 “漢倭奴國王印”라 한다. 또 다른 왜왕이 다스리던 땅이 한해 동남쪽 연안(倭地溫暖,冬夏食生菜,皆徒跣) 오늘의 구주 남쪽과 유구 열도에도 있었다. 이지역 사람들이 키가 삼사척 이라 작다(人長三四尺)하여 왜(倭)자를 형용사로…..

Read more

08 Jun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의 세로운 고찰

Lee Mosol Blog 0 0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의 세로운 고찰. 일본(日本)이란 이름자는 수당 (隋唐)전환기에 한해의 동남쪽 섬에 있던 열도 백제를 뜻하던 왜(倭)에서 나왔다. 진수가 삼국지(鮮卑傳)에서 한(汗人, 汗國)자 동이전에는 왜(倭人,倭國)자로 기록 했다. 이를 후한서에 그대로 인용하였다. 왜자의 출원지는 발해만 서남쪽, 창해군(滄海之郡)이 나타났던 곳이다. 양자방언에 조선(朝鮮)이라한 지역의 해안이다. 임나(任那)란 글자가 그 곳을 정벌했던 광개토대왕 비문에 나타난“自倭*背急追至任那加羅*從拔城, 城卽歸服, 安羅人*戍兵. 拔新羅城, 鹽*城, 倭寇大潰*, 城內” 문구에 있다. 이와 같은 사료를 근거로 “任那加羅”란 지명이 한반도 남쪽에 있었다는 일본 사람들의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을 세로이 설명 한다. 필자는 광개토대왕의 격전지가 남만주에서 중원에 이르는 지역에 국한 되어 한반도에…..

Read more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