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06 Aug

부여의 시말:

Lee Mosol Blog 1 1

    필자는 부여의 어원과 발생지는 황하문명 발생지에서 나타났다고 여러번 설명 했다.[1] 산해경에는 호부여지국 (胡不與之國)이 실렸다. 서쪽에서 온 <오환족(烏孫, Scythian) 으로 그 일대에 살던 사람들과는 다른 떠돌이> 라는 뜻이다. 시경 조풍에 부유(蜉蝣) 편명이 있고, 순자에는 부유작시 (浮游作矢)라고 했다. 떠돌이 방랑자란 뜻이다. 이들이 단군왕검이 피살 당하자 분산되여 한부류는 북쪽으로 밀려 갔다. 남쪽으로 피해 갔던 사람들이 토속 신앙을 인도 동북쪽에 전하여 원시 불교가 나타났다. 원시 불교가 전국시대에 금미달 지역(燕都)에 들어 왔다. 그곳에서 신라의 초기 이름 시라(尸羅  斯羅)가 나타났다. [2] 금미달에 살던 단군이…..

Read more

07 Jun

옥새(玉璽)의 유래

Lee Mosol Blog 0 0

옥새(玉璽)의 유래: 개요 Abstract   동양 문화권에서는 옛적 부터 도장 (圖章)인(印)을 써 왔다. 특정 영역의 최고 집권자가 쓰던 도장을 국인 國印),국새 (國璽), 또는 옥새(玉璽) 라고 했다. 중원을 다루던 황제의 옥새를 전국 새 (璽), 그 전에는화씨벽 (和氏璧)이라고 했다. 옥새(玉璽) 의 발원지를 동양 고전에서 찾아 보았다.  필자는 여러 차례에 걸쳐 동양에서 아직도 쓰고 있는 [번체자(繁體字) 라고 부르는 상형 글자는 漢字가 아니라 韓字로 기록 함이 옳다]고 했다. 그 확실한 증거를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새로운 고찰”에서 밝혔다.  옥새를 뜻한   둥근 옥 벽 (璧) 또한 황제가…..

Read more

09 May

삼신산 불로초의 대명사 영지버섯

Lee Mosol Blog 0 0

삼신삼 불로초 의 대명사 영지버섯   한글 위키에서 “푸를(靑)를 설명한 내용은 해지 연안에 살았던 휴자(攜, xié 子),즉  “𣫴, xié/시애/쉐”로 읽던 글자다. 그 후손이 분수 계곡을 따라 올라가서 살던 지역에 마지막 수도 금미달이 있었다. 그 지역 청구(靑丘) 에서 황제가 자부선인(紫府仙人)으로 부터 삼황내문 (三皇內文) 을 받았다.   청구(靑丘)란 글자는, 삼국사기에 “靑丘之表,靑丘道行軍” 실렸다. 고구려 멸망이후 안승을 책봉 하며 내린 문구에“우풍진 어청구 威風振於青丘, 즉 위풍이 청구에 떨쳤다”. 옛적 고구려 땅을 청구라 했다. 두 글자 사용의 한계가 모호하다. 답이 삼국 유사에 있다.  모두 청구 소문(青丘沙門)…..

Read more

03 May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새로운 고찰:

Lee Mosol Blog 0 0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새로운 고찰: 한국 상고사를 되찾아 가는 경과보고 “Research in Progress” -2. 개론: 고려시대 부터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 란 문구 를 한반도 (韓半島, Korean peninsula)에 적용 했다. 소중국 (小中國)이란 별명 까지 붙었던 이씨조선 말기에 동학 (東學) 개혁 운동이 나타났다. 갑신정변 (甲申政變, Coup 1884 년)이 실패했지만, 1897 년에 고종이 대한제국 (大韓帝國)이란 새로운 국호를 선포 했다. 중원으로 망명 했던 사람들이 만주에서 발표한 대한독립선언서에 대한민주 (大韓民主)란 문구가 나타났다고, 상해(上海) 에 나타났던 임시정부에서는 대한민국(大韓民國)란 이름을 썼다. 일본이 멸망하고 미군정시기 초, 1948 년…..

Read more

22 Mar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Lee Mosol Blog 0 0

孤竹國 was 中山國     During the Duke Ling of Wey (衛靈公:c. 534 — 492 BC), Gojoseon Mizi Xia (彌子瑕, Ha by Korean) accepted Confucius teaching and treated like a lovely lady Li (釐夫人), who were recorded as lady LiMi(釐爾女士) in the section (既醉) of Shijing.[1] They interpreted the phrase as “All drunken” as the royal clan entertaining. The ideo-logogram Li(釐) pointed out the location as the leader of first commune (帝鴻) had been in the Fen Shui valley. Shanhaejing…..

Read more

19 Mar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Lee Mosol Blog 0 0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 개론: 서진 말기부터 고조선 사람들이 새로운 재련술(製鍊術)을 개발하여 질이 좋은 무기를 만들어 중원을 석권하여 이를 발조선 시대라 했다. 선진 기술이 중원에 전파 되여 세력이 전국시대가 나타났다.  다이 여섯 나라는 모두  도량형과 언문이 달라 진시황이 이를 하나로 통일 했다. 한나라가 자리를 잡고 효무황제(孝武皇帝;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 집권기에 이르러 옛 부터 전해 오던 기록을 정리 하기 시작 했다. 그 당시에 왕검조선 의 수도 평양이 있던,산시성 위남시가 본향인 태사령(太史令) 사마담의 아들이 뒤를 이어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기원전 145년경 – 기원전…..

Read more

13 Mar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Lee Mosol Blog 0 0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지난 번에는 처음으로 “고조선의 마지막 수도 금미달”을 간략히 설명 했습니다. 장구한 시대에 걸처 아시아전역에 흐터져 있었던 예맥(濊貊, 斯)족의 역사에 관한 총괄적 개론(Introduction; Opening remark) 이었습니다. 이는 미국에서 40평생을 의과 대학에서 보내면서 뼈저리게 느껴 재야 사학가로서 변신 하여 잃었던 한국 상고사를 되찾아 가는 경과 보고 “Research in Progress” 라 새로운 학설 입니다. 그러다 보니 친구가 없습니다.  생을 즐겨야 할 팔순 나이에 참으로 “외로운 여정”을 걷고 있습니다. 많은 재야 사학가들이 활동 하지만 필자는 아직 벗을…..

Read more

19 Feb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Lee Mosol Blog 0 0

  Abstract: By siting the book of Wei, Buddhist monk Ilyeon left the story related to the birth of Gojoseon; Dangun Wonggeom, all the capitals, Gija and Wiman Joseon. Gija went to Joseon in 1046 BC, came back within few years and met the first king of Western Zhou. No one has yet confirmed the birthplace of Joseon. Chinese claimed the capital of Gojoseon was in the current Pyongyang. By casting the conceptual net as wide as it can be…..

Read more

06 Feb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Lee Mosol Blog 0 0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he fact-finding; that is the backbone of history. Fact-finding is the domain of forensic science, research scientists, and the physicians alike who utilize every possible means.   Material and Method Research material: Attempts were made to scan all the pertinent records found through the https://ctext.org/zh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and other digital libraries such as Baidu of China……

Read more

30 Jan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1: Study of Northeast Asian History

Lee Mosol Blog 0 0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1: Study of Northeast Asian History   Mission to Find Historical Facts It is a long journey for historians to discover the neglected mythical name and the place of events taken place. The first objective is to get the whole picture without missing any evidences. The investigator should expand panoramic view to scan the overall picture, approach the target, and draw multidimensional moving picture for analysis. In conceptual sense, it ought…..

Read more

← Older posts
Newer posts →

Recent Posts

  • 바둑(圍碁.行く. go. Go game)의 시원(始原): 시대와 장소.
  • 글자 속에 역사가 있다-Series.
  • 단군조선의 후손들에게 이책을 바침니다.
  • (no title)
  • 아로자등묘(阿鲁柴登墓)에서 발굴된 금관

Recent Comments

  • Don S. Lee MD on 부여의 시말:
  • Seowa etymologist on Silla from Zhina(Southern China) to Korean Peninsula.
  • James Kim on 약우 (若愚)
  • James Kim on 약우 (若愚)
  • James Kim on 약우 (若愚)

Archives

  • January 2025
  • November 2024
  • May 2024
  • February 2024
  • October 2023
  • August 2023
  • June 2023
  • May 2023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