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17 Feb

利簋-2:  제터 단자를 박달나무 단자로:

Lee Mosol Blog 0 0

利簋-2:  제터 단자를 박달나무 단자로:

 

선공(旜公)이라고 풀이한 글자는 https://ctext.org/zh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금석문 이나 갑골문에 없었다.  이 글자 “旜”를 강희자전 에는 주예(周禮)에 있다 하나 보이지 않고, 그 문구를 “通帛為旃”라 했다[1]. 깃발 전(旃)자를 “旜”자로 바꾸어 사용 했다. 그 글자에는 큰 붉은 빛(大赤)이란 뜻, 즉 떠오르는 아침 해를 그린 단(旦)자가 있다. 붉은 색을 서주를 상징 하는 색으로 사용했다.  중국사람들이 경사스러운 행사에 붉은 색을 즐기는 시원이 되었다고 본다.

 

목야전 당시에는 “旜”이란 상형 글자 가 없었다는 증거다. 이괘에 나타난 금석문자는 어느 누가 보아도 제터 단(壇) 자로 풀이 하리라 본다.  옛 사전 역명(釋名)에는 제터 단(壇)자를 박달나무 단(檀)자로 바꾸어 설명 했다: 박달 나무는  토담 벽이다(檀,垣也)유목민의 지도자 (햇 님의 사자)가  사용하던 평편한 토담 (摩之使垣然平) 이라고 설명 했다.

 

설문해자에서는 수래에 쓰인 나무(檀車)로 풀이 했다. 목야전을 읊은 시문(詩經 大雅 大明)에 단거(檀車)가 나온다. 지도자  단공 (壇公)이 쌍두 마차를 달리는 표현을 단거로 기록 했다. 또한 원주민을 처단 하는 장면을 읊은 벌단(伐檀)이 있다[2]. 그러나 시경 학명편 (詩經 小雅鶴鳴) 과 정풍 장중자 (鄭風  將仲子)에는 제터 단자를 박달나무 단자로 바꾸어 기록했다[3]. 시경에는 제사를 올리던 곳, 즉 제터 단(壇)자가 없을 수가 없다.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다. 후한 광무제 때에 어용학자들이 옛경전에서 백여만언 (百餘萬言)을 바꾸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 시절에 시경에 있던 제터 단자를 모두 박달나무 단자로 바꾸었다는 추리가 합당 하다.

 

무왕이 만들어준 기념품은 단군왕검(壇君王儉)의 먼 후손, 단공 (壇公)에게 주었다. 그가 햇님의 후손을 사음하여 만든 글자 필/비공(畢bì毕公)으로 시경의 사간(斯干) 이다.

 

끝, 다음에 계속

 

February 17, 2019

[1].旜:《唐韻》《集韻》《正韻》𠀤諸延切,音饘。《說文》旃,或从亶。《周禮·春官·司常》通帛爲旜。《註》通帛,謂大赤,從周正色。《又》孤卿建旜。《註》孤卿不畫,言奉王之政敎而已

 

[2].詩經   大雅 大明:牧野洋洋、檀車煌煌、駟騵彭彭. 詩經 小雅 鹿鳴之什  杕杜:陟彼北山、言采其杞。

王事靡盬、憂我父母。檀車幝幝、四牡痯痯、征夫不遠

[3]. 詩經 鄭風  將仲子: 將仲子兮、無踰我里、無折我樹杞. 將仲子兮、無踰我墻、無折我樹桑. 將仲子兮、無踰我園、無折我樹檀.

詩經 小雅 鶴鳴: 樂彼之園、爰有樹檀、其下維蘀. 樂彼之園、爰有樹檀、其下維穀.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The Canghai Commandery(蒼海郡) is Logical Fallacy.
  • 경주 계림로에서 발굴된 황금보검에 얽힌 사연:
  • 시경(斯經) 과 시도(斯道) 시문(斯文)
  • 임나가라(任那加羅)설의 새로운 고찰
  • 백제 수도 거발성(居拔城)은 양자강 하류에 있었다.

Recent Comments

  • Lee Mosol on Etymology of Khitan Empire; Name of Khitan came from the Hédàn 盍旦 in the Shijing.
  • Lee Mosol on Etymology of Khitan Empire; Name of Khitan came from the Hédàn 盍旦 in the Shijing.
  • Lee Mosol on Etymology of Khitan Empire; Name of Khitan came from the Hédàn 盍旦 in the Shijing.
  • Lee Mosol on 양자강 하구 회계(會稽)산의 유래.
  • Lee Mosol on 산해경(山海經)에 나타난 천독(天毒)-끝

Archives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