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19 Aug

단군왕검이 실존 인물이다: 1. 서론:

Lee Mosol Blog 0 0

한국 상고사를 다루시는 분들 께서;는 필자의 논지를 설명 하기에 앞서, 그 뒷 배경을 간단히 전해 드림니다.

다음은 봄에 얼렸던 입니다.

한무제가 조선을 친입 하여 사마천이 조선 열전을 편찬 했고, 그 다음 후한 말기에 진수(陳壽, 233-297년)가 옛적 뭔 낙원 땅(遼寧)이라 하던 남만주 땅에 들어가 현지 답사를 하고 삼국지 위지 30 (三國志 魏書三十)를 편찬 했다 . 이유가 뚜렸치는 않으나 현존하는 삼국지에 실린 글자 수의 반 이상이 동진(東晉) 말 -북송(北宋)의 배송지(裴松之, 372년-451년)가 주(注)를 단 글자다. 특히 열전에는 보인다 . 그러나 이 두 사서가 동북아시아 상고사 연구에 가장 중요한 사료다.

정치적인 이해 관계에서 모든 중국 사서는 시대에 따라 상반된 비판을 많이 당했다. 바꾸려면 문젯점의 뿌리 부터 철저히 바꾸어야 했다. 하여 글자 만드는 방법(六書) 과 각종 字典에 손을 대었고, 고전중의 고전인 詩經, 尙書, 春秋左傳에 실린 글자도 바꾸었다. 후한서 유림열전에는 여러 학자들이 다투어 옛 문헌을 바꾸었다고 했다. 특히 가규 (賈逵, 30년-101년)가 반고와 함께 궁중 도서의 교정과 후한의 역사 정리를 맡았다고 한다. 그는 어용학자로 경전의 많은 글자들을 바꾸었다 . 후한서와 삼국지 가규열전을 보면 그는 옛 경전에 실린 백여 만자(百餘萬言)를 바꾸어 어마어마한 범죄 행위를 저질렀다. 하여 논왈 “그 후부터 귀현 세주가 모두 이를 의론하며 공부 하고 있다. 아! 슬프다”하는 문구가 있다. 모시정의 서문, 안씨가훈 서증, 강희자전의 많은 글자 설명에 붙은 고증(考證) 따위가 글자를 바꾸었다는 증거다. 시대를 따라 변해온 한자(漢字)에는 동양 역사가 숨어 있다.

예를 하나 든다: 공자님의 사위 공야장(公冶長)이 오환(烏桓, 烏丸)의 말을 이해 했다는 오어(烏語)자를 비슷해 보이는 새조자 조어(鳥語)로 바꾸었다. 북쪽 사람들이 볼때는 너무 속들여다 보이는 글자 작난이라 생각 되여서 였던가, 같은 새란 뜻의 새 금자로 바꾸어 조어라 하던 글자를 금어(禽語)로 바꾸어 공자님 사위가 새소리(禽語) 까지도 해석했다고 전해 왔다 . 당 현종은 공자님 사위에게 거백(莒伯)의 칭호를 주었고, 북송의 진종은 고밀후(高密侯), 남족이 집권한 후 명나라 때에느 그를 다시 선현 공야자(先賢公冶子)라 했다. 중원에서는 이렇게 사상교육의 뿌리가 되는 역사부터 바꾸어 왔다. 그러기 위해서는 원문의 글자를 바꾸어야만 했다. 이래도 “1+1 =2”라는 원칙을 지켜 한국 상고사를 복원해야 한다는 실증 사학계의 의견을 듣고 싶다.

끝

March 24, 2017, revided August 19, 2017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