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07 Jul

단군조선 (檀君朝鮮)이란 이름은 부당.

Lee Mosol Blog 0 0

단군조선 (檀君朝鮮)이란 이름은 부당.

역사서는 종교의 교리를 적은 경전 (經典)과 같은 기록이 아니다. 한국에서 역사학을 연구 하는 분들은 선배가 옛적에 남긴 내용은 철저히 지키려는 풍습이 너무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이는 학술 토론에 큰 장애물이다. 이러한 풍속에서 벗어나야 한다.

옛 부터 중국 고전 풀이에는 논란이 많아 훈고학이는 동양 특유의 학술 분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중국 황실이 인정한 몇몇 학자들만이 다루었던 소제다.
한국 선학들의 중국 고전을 잘못 풀이 곳이 여기저기 보인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도 고조선에 관한 기록에 잘못된 내용이 많이 있다.

고조선에 관한 기록을 살펴 보면, 한중 두 나라 기록에 “古朝鮮, 故朝鮮”이란 글자가 보인다. 이를 모두 Old Korea 라고 풀이 했다.
고조선을 설명한 문구 “意在斯焉古朝鮮”에 [천할 시斯,어찌 언, 새이름 언, 오랑캐 이焉]란 글자에는 서쪽에서 온 유목민이란 뜻이 있다. 그들이 태고적에 조선(古朝鮮)을 세웠다. 환웅 (桓雄)이 그 지역에 내려가 살고 십어 했다는 뜻이다. 이를 일연스님은 왕검조선(王儉朝鮮) 이라고 풀이 했다. 하여 오늘날 까지도 “고조선 단군조선”하는 애매 모호한 명칭을 비판 없이 쓰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하여 이 문제 만큼은 바로 잡아야 한다.

단군은 제터 단자 단군(壇君)이 옳은 글자다. 사제를 뜻한 보통 명사다. 사제에도 등급이 있다. 로마교회를 예로 들면 쉽게 이해가 간다. 교황, Priest, Bishop, Abbas, Archbishop. So on,
융우가 동반자들을 죽이禹攻雲雨)는 등, 난폭한 행위를 했다. 결국사방의 지도자가 홍수로 분수 하류에 흙탕 밭이 된 산, 즉 도산(塗山)에 모여 회의를 했다. 그에 참석 했던 모든 사람이 만장 일치로 뽑은 지도자라는 뜻 글자가 왕검(王儉)이다. 동이 수령 백익(伯益)이 처음으로 최고 제사권과 통치권을 합당하게 부여 받아 단군왕검 (壇君王儉) 이라 했다. 동북아 역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합당한 지도자다. 해지 연안에 있는 운성시가 왕검조선의 수도 평양이다. 한민족 역사 시대의 시작이다. 삼국사기에는 단군왕검 (壇君王儉)이란 글자를 피하고 평양은 선인 왕검이 살던 곳(平壤者本仙人王儉之宅)이다 라고 했다. 단군(壇君)을 신선, 즉 완전한 사람(佺)이라 했다. 백익(伯益)이전에도 완전한 사람이 있었다 하여 간략히 세 완전한 사람(參佺) 이라 했다.
중국사료를 살펴 보면 동이 수령 백익 이전에 이미 조선이란 칭호를 붙인 나라가 중원 세력 북쪽에 있었다. 이를 스님은 고조선(古朝鮮), 즉 왕검조선(王儉朝鮮)고 했다. 동이 수령 백익이 아사달 (阿斯達, Asathal)에서 평양으로 옮겨 나라를 조선이라고 부르기 시작 했다. 그러다 다시 아사달로 돌아 왔다. 마지막 수도를 금미달(今彌達)이라 했다. 금미달 (今彌達)은, 도굴꾼이 281년에 안희왕 (魏安釐王; 기원전 276-243년) 무덤을 발굴 했던 이전의 수도란 뜻이다. 스님이 인용한 위서에는 홍산문화권에 속한 만주에 관한 기록은 실릴수가 없다.
아사달을 경운(經云), 즉 어느 경에 실린 내용을 인용하여 무옆산, 백주에 있는 백악(白嶽), 백악산(白岳山), 묘향산(妙香山), 혹은 개성 동쪽에 있다. 스님이 살던 당시 백악궁(白岳宮) 이라고 했다. 경운이란 글자는불경 (佛經) 이라기 보다는 만주 땅에서 한반도에 전해진 환단고기(天符經, 參佺戒經, 蘇塗經)에 실린 내용을 스님이 해석했던 지명이다. 하여 현 시각으로는 사리에 어긋난 풀이를 했다.

환단고기에 실린 내용을 근거로 홍산문화권의 역사를 연구 하시는 분들은 현제 한국 사학계에서 쓰고 있는 [고조선, 단군조선] 하는 불투명한 어휘를 시대와 장소에 합당하게 밝혀야 한다.
다음 사전에는 고(古)와 고 (故)가 다 같이 옛적(old, ancient)이라고 했다. 옛적이란 고자에 [큰 북 鼓]을 칠때 사용하는 방망이를 붙인 글자는, [옛 풍속이 남아 있다]는 뜻글자로 풀이 함이 옳다고 본다. 단군왕검 백익을 비하 하여, 저 늙은이란 뜻의 이기씨가 큰북을 만들었다 (伊耆氏造鼓)는 기록이 있다. 개천절 행사를 소도 (蘇塗) 또는 영고 (迎鼓)라 했다. 고조선(古朝鮮)은 [Old Korea]이다. 낭랑군과 평양을 설명한 고조선 (故朝鮮) 이란 글자에는 [The place where Old Korean custom remained]이란 뜻이 있다.
끝

July 7th 2021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1: Study of Northeast Asian History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Second Edition. Preface
  • 발조선 시대(發朝鮮 時代)
  • 논란이 많은 여러 가야의 실체.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