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04 Oct

백익(伯益)이 단군왕검 (壇君王儉):

Lee Mosol Blog 0 0

위키에서 찾은 다음을 고려:

后羿,或羿,是中国古代传说中的一位擅长射箭[1]的人物

羿 (唐堯),传说中帝尧时的一位壯士,曾在十日並出時射下多个太阳

后羿 (夏朝),夏代部落東夷部落有窮氏首领,掌控夏朝的政權,不久被自己的手下寒浞所杀.

寒浞(「浞」,拼音:zhuó,注音:ㄓㄨㄛˊ),一作韩浞。[1]夏朝東夷族伯明氏(今山东省濰坊市寒亭區)人,妘姓,任有穷氏部落首领羿的相,后杀死羿和夏朝国君相安,夺取了夏朝和有穷氏大权,最后被夏朝大臣靡杀死.

竹書紀年 -> 帝相: 八年,寒浞殺羿,使其子澆居過

寒浞子,多力,能陸地行舟.

逄蒙是后羿的徒弟,他是五帝帝尧时期一个善于射箭但品行不端的小人.

백익(伯益)이 단군왕검 (壇君王儉)

몇일 전(October 1, 2017)에 올렸던 “진서 본기 (晉書 帝紀)-1”를 교정하다 보니,
백익(伯益)이 제사권과 정치적 통치권을 합당히 받은 단군왕검 (壇君王儉)으로 나타나서 다시 올립니다.

古官名。管理山泽。《尚书·舜典》:“帝曰:‘俞。咨益,汝作朕虞。’” 汉 荀悦 《汉纪·惠帝纪》:“益作朕虞,育草木鸟兽。”《汉书·地理志下》:“秦之先曰柏益,出自帝颛顼,尧时助禹治水,为舜朕虞。”一说“虞”为官名,“朕”为舜自称。参阅《尚书正义》卷三。
《史记·五帝本纪》:“於是以益为朕虞。

진서 본기 (晉書 帝紀)-1:

진서 본기에는 첫쩨로 (晉書 帝紀第一) 사마의(司馬懿, 179년 ~ 251년)를
다루었다. 서진서(西晉)을 세운 사마씨(司馬氏)는 그 선조가 전욱 고양씨의 아들 중려 (高陽之子重黎) 즉 축융(祝融)의 후손이라고 했다 . 후손들이 산서성 해지-분수 계곡 연안에 살면서 하 상 주 시대에 관료로 일했다. 그 일대에서 단군조선이 탄생 하여 백익 (伯益)이 뒤를 이었다. 옛적에 당숙우(唐叔虞)를 봉했다는 서주의 제후국 진(晉)의 연역이 본향이라 하여 조선(朝鮮)과 같은 뜻을 이미하는 글자 으로 택했다 .
앞서(Aug 28-28, 2017)에 걸처 “산서성 역사 진세가(晉世家)와세 쩻 장: 산서성 사람들이 한글 어순을 썼다: 첫 장: 부루무송백(附無松柏),:이란 제목”으로 약간 다루었다. 사마의(司馬懿)란 이름은 후한서와 특히 삼국지에 많이 나타난다. 이 두 사서에 나온 기록을 함께 다루기로 한다.

태평광기(太平廣記) 악일(樂一) 한고(韓臯, 韓皐)편에; 위진(魏晉)시대라는 위(魏)자는 같은 음 위(衛)자가 옳다고 했다. 서진(西晉)의 건국기반을 닦은 사마의(司馬懿)가 조위(曹魏)로 부터 황제자리를 찬탈하려는 모략을 꾸리자 그에 반대 했던 관구검 (毋丘儉) 문흠 제갈탄(文欽, 諸葛誕)을 이라고 했다 .
그 내용을 살펴보면, 조위는 <더 높은 사람을 지킨다는 뜻의 지킬 위(衛)자를, 같은 음으로 발음 되는, 제일 높다는 뜻의 글자(魏)로 바꾸어 시경 (詩經)위풍(魏風)이 나타난 지역이 조씨(曹氏)의 본향이라고 바꾸었다. 간웅 조조는 한나라 때 제상을 지냈던 조참(漢相曹參)의 후손으로 산동성 패현(沛國, 沛縣)이 본향이다 . 그의 아버지 조고(曹嵩)가 후한 영제(靈帝; 재위 168년 ~ 189년) 때에 서원전 일억만 (西園錢一億萬)을 뇌물로 바쳐 대위 (太尉)벼슬을 받았다 . 조고(曹嵩)의 혈통을 더올라 가면 하후씨의 후손으로 하왕조가 나타났던 산서성 해지연안, 즉 시경 (詩經)위풍(魏風)이 나타 났던 곳이라 하여 조위(曹魏)로 했다. 아들 조비(曹丕)가 제단에 올라 대관식을 마치고 위왕 (魏王)이라 붙인 이유를 순임금이 우왕에게 양위 했던 사실를 인용하여 설명했다 . 자기 자신이 무력으로 빠앗은 왕관을 상대방이 주어서 받았다고 발표 했다.

위진(魏晉)두 왕조는 출발부터 권모술수에 특출한 제능을 가진 자들이 세운 나라로 그들은 중원에서 큰 전쟁을 하면서도 남만주-발해만 연안에 살던 고조선의 원주민을를 사기와 기만의 권모술수로 다루었다.

필자는 앞서 고 논증했다. 강희자전(康熙字典‎ | 毋部)에는 글자 꼴이 비슷한 “毋,毌,母,”자를 위장 관구검 (魏有毌丘儉)의 발음을 자세하게 설명 했다; 정현(鄭玄)이 말하기를 고문모위무 (古文毋爲無)라 했다. 금인언모(今人言莫)혹 그 새 이름을 무(武) 라하고 산서성 에서는모(毋)라 하지만 부모란 어미 모(母)자와는 다른 글자다. 같은 음으로 읽던 글자 “ ; 音牟”가 “”자다 . 이를 종합해 보면란 뜻이다 .
검(儉)자는 라는 뜻이다. 상서에는 요 임금이 <우(禹)에게 치수사업을 맡아 보는 사공(司空)에 임명하고, 백익 (伯益)을 동음이자 백이(僉曰伯夷)로 기록하여 조정에서 행하는 제사의식 (朕三禮)을 맡아 보게했다. 백익 (伯益)이 제사장, 즉 단군(壇君)의 직책을 요임금으로부터 일임 받고, 정치적 지휘권은 도산 총회의에서 그의 동료였던 우왕으로부터 물러 받았다 . 이 두분이 단군조선의 첫 두 지도자다.

백익(伯益)이 제사권과 정치적 통치권을 합당히 받은 단군왕검 (壇君王儉)이다.
도덕경의 저자로 알려진 노자(老子)란 이름이 여러 시대에 나타 나듯, 백이(僉曰伯夷)란 이름의 동명 이인이 여러 시대에 나타난다.
예기(禮記坊記)에 좋고 나뿐 법을 비교 하면서, 그 첫쩨로 백익 살해사건을 원망한 뜻이라 했다. 다음사전에 허물 구, 성 고, 큰 북 고 (咎)라고 읽는 글자는 [성(姓). 죄과(罪過). 과실. 재앙(災殃)이라고 풀이 했다. 고요(咎繇, 臯陶) 또는 구단(咎單) 이라 하는 이 글자는 옥황상제가 내려 보낸(天降之咎) 지도자 백익을 뜻한 글자다 .

중원 문화권에서는 이렇게 단군조선의 시조부터 은밀하게 감추려고 노력 했다.

끝, 다음에 계속
October 1, 201 Revised October 4, 20177.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