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25 Nov

앞서 고조선(故朝鮮)이라고 하셨는데, 고(古)와 고 (故)가 어떻게 다른가요. 

Lee Mosol Blog 0 0

앞서 고조선(故朝鮮)이라고 하셨는데, 고(古)와 고 (故)가 어떻게 다른가요.

 

네 어려운 질문 입니다.

저는 훈고학을 공부한 사람이 아닙니다. 강희자전에 실린 글자 풀이를 인용 합니다.

다음 사전에는 두 글자가 다 같이 옛적(old, ancient)이라고 했지요?.

상형 글자에는 뜻과 음을 담고 있답니다. 예 고, 연고 고 (故 : 古,攵)라고 읽는 글자는 “舊也,事也,常也”라고 했서요. 문제 풀이의 열쇠는 “攵”란 형상자 입니다. 이를 “攴”의  변형이라 했습니다. 그 뜻은 <유목민들이 두손으로 북을 가볍게 치는 형상>이라고 봅니다. 하여 “古”자는 고금” 하는 술어에서 와 같이 단순히 과거를 뜻한 형용사입니다. “故”자에는 있는 상항을 뜻한 글자 입니다.

앞서 황하문명 발생지에 살던 사람들은 우랄 알타이어 계통에 속하는 퉁구스어를 썼고 그들이 우리의  먼 조상 이라고 밝혔지요. 그사람들의 말(언어, Language)을 하어 또는 부여어라고 했습니다. 삼국지 종회전(鍾會傳)에 <왕필(王弼, 226년- 249년)의 역주에는 여기저기에 고려언어(注易,往往有高麗言)가 있다고 했서요.

앞서 저가 모두(旄頭)란 한자 어휘가 한국말 모두 다 같이(all together)라고 밝혔지요?  모두 다 같이라는 한국 말소리를 여러 글자로 적었서요.

 

우리들의  먼 선조가 하던 발음을 그림 글자로 남겼습니다. 그러한 글자를 이리저리 뒤섞어 (PLCs & PSMCs) 경전을 작성 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경전에 실린 글자 풀이를 전문으로 하는 학문을 훈고(訓告;  訓故, 故訓, 古訓, 解故, 解詁)학>이라고 했서요. 옛 말소리란 뜻의 글자 “詁” 설명에 아래와 같이 있서요:《前漢·藝文志》魯故二十五卷。《註》師古曰:故者,通其指義也。今流俗毛詩,攺故訓傳爲詁字,失眞.

글자 풀이를 한답시고 시문의 본 뜻을 망첬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시경을 보면 많은 시문을 앞뒤가 틀리게  풀이를 하고  때로는 글자도 바꾸었습니다. 공자님이 옛적 부터 전해 오던 시 3,000여 수를 정리 하여 306편을 실었다 (謂古有詩三千, 孔子刪詩而成三百)는 기록이 사기에 있고, 또 시경 서문에도 그렇게 실렸습니다. 그와는 달리 무려 여섯 가문에 전해 오던 시문 416권(凡詩六家,四百一十六卷)이 공자님이 돌아 가신지 4-500년 뒤에 만들어진 한서  예문지 (漢書·藝文志)에 실려 있습니다.   한서가 만들어진 이후에 시경의 내용을 많이 바꾸었다는 증거가 이렇게 뚜렸하지 않아요?

 

November 25, 2018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삼신산 불로초의 대명사 영지버섯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새로운 고찰: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y 2023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