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01 Dec

어떻게해서 단군왕검이 살던 평양이 한반도에 있다고 하나요?

Lee Mosol Blog 0 0

어떻게해서 단군왕검이 살던 평양이 한반도에 있다고 하나요?

 

네! 모두가 의심스러워 합니다. 그분이 어서 오셨을까요? 옛적에 일본 사람들은 <일본 천황은 하늘에서 내려 왔다>고 했서요. 여러분 믿을수 있나요?

 

우리민족은 중앙 아시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사람들의 혈통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출발점을 이연 스님은 위서에 적혀 있기른  태백산(太伯山)이라고 했지요? 묘향산이 아니라 우랄 알타이 산맥 남쪽에 있는 만년설이 덥힌 높은 산입니다. 이를  칸 탱그리, 한자로는 천산 산맥(Khan Tengri Mountain,天山)이라고 합니다. 그 곳에서 우리 선조는 동쪽으로 옮겨와 동북 아시아로 퍼져 나갔서요. 다른 한부족은 서쪽으로 또다른 한 부족은 남쪽으로 내려가 살았다고 봅니다. 이는   여러 문헌과 설화, 고고학, 언어학 등등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이 추리한 결과로 역사시대 이전에 나타났던 현상입니다.  이러한 선사시대 유물을 역사시대 이후의 유물로 잘못 판단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 해서는 안됩니다.  학문적으로 실언을 했다고 본인이 인식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 주어야 합니다.  그게 학자의 의무 입니다.

 

저는 여러분들에게 역사 예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서쪽에 동쫑으로 온 유목민들이 선사시대 부터 홍수로 시달리던 지역에 들어와 치수사업에 성공한 사람들이 기원전 2333년에 산서성 서남쪽 해지 연안에서 고조선을 세웠습니다.

 

학생의 질문은 조선(朝鮮)이란 글자의 이동 경로를 살펴 보면 답이 나옵니다: 상형글자는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오랫적에 나타나서 계속 사용 되여 오고 있습니다. 그 글자 속에 역사가 숨어 있습니다.

 

단군왕검이 조선을 세울 당시에 여러 부족 마을이 있었서요. 이를  아홉개의 부족국가란 뜻에서 구주(九州,九疇) 라고 했지요.  중요한 부족이 예맥(濊貊)이 세운 나라를 예맥조선이라고 했습니다.

 

글자 속에 역사가 숨어 있다-1:

 

우선 예맥(濊貊)이란 글자를 살펴 봅시다.

 

종족 이름 맥(貊)이라고 하는 글자는 <돼지 변>에 백백자를 더한 글자로 흰 백(白)자 근간입니다. 이 글자는 횃불(Torch, 火)의 상형자를 뒤집어 그린 그림들자 입니다. 어두운 밤길을 갈 때는 횃불을 든 사람이 앞서지요? 하여 맏 백(伯)자를 만들었서요. 그래서 설문이란 옛 사전에는 백은 서방 색이다 ( 白: 說文, 西方色也)라고 했습니다. 이들이 서주의 수도 복쪽에 살던 부족이라 북적(北狄)이라고 했습니다.  적자를 자세히 보새요. 흰백(白)자를 불화 (火)자로 바꾸었지요? 흰 백(白)자는  횃불(Torchlight)을 뜻한 그림글자가 분명 합니다. 횃불(Torchlight)을 명암에 따라 여러 글자 “희어, 히, 해, 훤, 훠언, 환, 화안”로 기록 했다고 봅니다. 이러한 사음자를 분별하지 못하여(不可致詰)  백마는 말이 아니다(白馬非馬)라는 웃지 않을수 없는 일화가 전해 옵니다[1].  또한 빛을 숭상하여 제사를 드리던 사제의 의복에도 종교에 따라 <밝은 흰색(白), 검은색 (黑), 누런 황색(黃) 예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굴 속에서 횃불을 높히 든 그림 글자가 백 백(百)자 입니다. 하여 옛적에 숫자 “100”을 온 이라고 했습니다. 온 굴안이 밝게 되여 그렇게 불음 했다고 봅니다. 이렇게 흰 백(白)자에서 여러 가지를 붙여 여러 뜻의 글자가  만들어 졌습니다. 옆에 붙은 “돼지, 개”를 의미하는 그림글자를 우리 선조를 비하하는 뜻에서 만든 글자 입니다.  이들이 서주의 옛 수도 동쪽에 살았습니다.  동쪽에 사는 큰 활을 사람들이라 하여 동이(東夷)라고 했습니다. 북적(北狄)과 동이(東夷)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서쪽에서 온 유목민(西戎) 으로 같은 혈통 입니다. 이들을 나타낸 글자를 뒤에는 뜻이 같다, 음이 같다 하여 여러 글자로 우리의 선조를 기록 했습니다. 그러한 대표적인 글자들이 “貊, 伯, 狛,貘, 白豹.作貉”입니다. 그들, 즉 동이(東夷)가 철을 유출 했습니다. 그래서 철을 먹는다(食鐵)란 표현을 했습니다. 무쇠(铁)를 뜻한 글자(銕:字林云鐵名)에는 동이를 뜻한 이(夷)자가 들어 있습니다. 동이의 한 부족장이 서주 무왕을 도와 상 (商,殷)나라를 정벌 했습니다. 의형제란 뜻에서 만든 글자가 회/휘라고 발음 하던 글자와 설명“「銻」,疑當作「銕」,銕即夷也,與古文鐵字不同” 입니다.

그 사람들을 상서에는 우리(嵎夷)가 양곡(宅嵎夷,曰暘谷)에 산다[1]. 옛적에  조선이라 하던 곳(古稱朝鮮)이다[2].  사마천은 우리(嵎夷) 에서 산 뫼자(山)를 띠어 버리고  이자에는 쇠를 뜻한 우리(禺銕)라고 했서요. 뿐만 아니라 당 나라 는 신라 김춘추(金 春秋)를 “우이도행군총관; 嵎夷道行軍總管” 이라 했습다[3].

 

우리 민족이 흘러온 경로가 이렇게 글자 속에 남아 있습니다. 황하문명의 발생지역에 있던 평양이 한반도로 옮겨 왔습니다. 여러분 깊히들 생각해 보세요. 다음 시간에 계속 하겠습니다.

 

[1].公孫龍子 白馬論: 曰:求馬,黃、黑馬皆可致;求白馬,黃、黑馬不可致。使白馬乃馬也,是所求一也。所求一者,白馬1不異馬也;所求不異,如黃、黑馬有可有不可,何也?可與不可,其相非明。故黃、黑馬一也,而可以應有馬,而不可以應有白馬。是白馬之非馬,審矣! 1. 馬 : 原作「者」。道德經: 此三者不可致詰,故混而為一

[2]. 漢典: 古稱朝鮮란 문구가 없었다. 이번에 처음으로 漢典에서 찾았다.

[3].嵎夷,堯典疏云:《尚書》《考靈曜》及《史記》作「禺銕」「銻」,疑當作「銕」,銕即夷也,與古文鐵字不同

 

December 1, 2018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