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02 Sep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Lee Mosol Blog 2 0
May 21 · 

삼국유사에는 <단군기(壇君記)내용을 인용하여 해부루와 주몽은 배다른 형제> 라고 했다 . 중국기록에는 고구려와 부여의 건국에 나오는 해모수 (解慕漱), 그의 아들 해부루(解夫婁), 그리고 금와(蛙, 蝸)란 이름이 없다 . 한서 지리지와 통전에 나온 개마(蓋馬: 蓋; gài gě hé音合; hé gě) 란 이름을 비교해 보면,부여와 고구려 시조에 나오는 해모수의 해모(解慕) 같은 뜻이 분명하다 . 수(漱)자는 도망을 간 지도자 (澣)란 뜻으로, 현토군에 있던 서개마현의 지도자로 도망갔던 사람이 해모수 (解慕漱)다 . 흑(黑; [hēi] hēi hè/흐어/해) 자 해(解)자가 모두 해(sun, sun-ray)를 사음한 글자(蓋音合)와 같은 사음자다. 고구려와 부여는 현토군에 있는 선비산(鮮卑山)으로 증명된 의무려산 (醫巫閭山)이 있던 곳에서 나타났다. 조양시 동쪽에서 북진시 서쪽에 있는 높은 산이다.

순자정론(荀子正論)에는 난세의 어려움을 다루면서<왕옥산 요새에 숨었던 사람이 어떻게 동쪽에 있는 낙원 땅을 알수 있겠느냐 면서,이를 우물안의 개구리 우화 (坎井之蛙,不可與語東海之樂)로 다루었다. 황하 문명의 발생지에서 요순임금이 양위(堯舜擅讓)를 했다. 그곳을 떠난 부족이 중산국(中山)에서 부유(扶柳)족을 흡수하여 호타하(滹沱河)연안에 제단(擅呼沱)을 쌓았다. 오손의 오(烏)자를 음이 같은 “호:呼, 乎,虖, 戶, 胡”자로도 기록 했다 . 호타(滹沱.呼沱)란 뜻은 <호(胡) 저 다른 사람(它)이 사는 땅>을 지나는 여울(沱)이란 뜻으로 예하(濊河)라고도 했다. 산서성에서 나와 천진을 관통하여 발해만으로 빠지는 해하 (海河)의 한 줄기다 .

타(它)자는 시경 홍명(鶴鳴)에 나오는 타산지석(它山之石)이란 타자에 물수변을 더한 글자다. 타(它: 宀:匕)자는 “他, 牠”와 같이 <저들 유목민>이란 뜻으로 해지(解池)연안에 살턴 토착 민을 그린 합성 상형글자다 . 설문에 바다해(海)자를 천지(天池)라 했다 . 광운(廣韻)에는 설문해자에 실린 천지를 설명 했다. 산서성에 있는 단군조선의 발생지인 해지(解池)가 분명하다 .
호타하(滹沱河)는 치수(治水) 성수(聖水)라고도 불렀다. 쌍간하(桑乾河) 영정하(永定河)와 같이 발해만 천진(天津)을 지나는 해하(海河)의 지류다.
그 일대에 맥국이 있었다.
May 21, 2018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2 Responses to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