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10 Oct

3. 상 무정의 상나라 중흥:

Lee Mosol Blog 0 0

 

무정(武丁, 1250-1192BC)이 공사장에서 노예로 일하던자를 맞아드려 상나라의 중흥을 이루었다.[1] 불암성 노역장에서 얻은 즐거움 또는 조언자라 하여 부열(傅說)이란 이름을 주었다. 부열(傅說)이 와전 되여 부여(扶餘)란 이름이 중원에 나타났다. 그가 중원에 자리잡은 扶餘의 후손이고, 그 가문의 마지막 지도자가 기자(箕子)라고 필자는 풀이 했다. 부열 (傅說)을 경사로 임명(卿士傅說)하여 견학양로(視學養老)라 했다. 얻은 후 융재태묘(肜祭太廟)에 유치래(有雉來)라 했다.[2]  유가에서는 꿩이 왔다고 풀이 했다.[3]  잘못이다. 은유법 표현이다. 글자를 보면 활(雉:矢,隹)을 잘 쓰는 오환 부족이  찾아 왔다는 뜻이다. 사건 당시 고종이 조을에게 문의 했다. 조을이 답하기를 원방군자 태유지자 (遠方君子殆有至者) 라 했다. 진서에는 득치대희(得雉 大喜)라, 그들의 협조를 얻어 즐거웠다란 문구가 있다.[4]  부열과 유치씨가 살던 곳은 상나라 보다 문명이 앞섰던 곳이 분명 하다. 이들은 모두 상나라의 서북쪽에 있던 고조선 땅에 살던 사람들이다.

상나라의 뒤를 이은 서주 초기 까지는 태행 산맥을 본거지로 한 고조선 영역을 귀방(鬼方)이라고 했다.[5] 부열(傅說)을 얻고 유치씨(有雉來)가 무정에 협조한 연유로 이 곳이 있던 춘추오패의 대팽(大彭)과 시위(豕韋)를 정벌하여 중흥을 이루었다. 귀방(鬼方)이란 또깨비가 사는 또는 통치하는 지역이란 뜻이다. 상나라 북쪽 지역의 지도자를 천독(天毒)이라 했다.  산해경에 나오는 조선의 지도자다:有國名曰朝鮮、天毒,其人水居,偎人愛人


[1].三國志 弁辰傳:  國出鐵,韓、濊、倭皆從取之。諸巿買皆用鐵,如中國用錢, 欲其褊。

[2].  竹書紀年 武丁: 二十九年,肜祭太廟,有雉來. 

[3].  《尚書大傳》曰:「高宗祭成湯之廟,有雉升鼎耳而鳴。高宗問祖乙,祖乙曰:『遠方君子殆有至者。』.  尚書 商書  微子:  父師若曰:「王子!天毒降災荒殷邦,方興沈酗于酒,今殷民乃攘竊神祇之犧牷牲用以容,將食無災

[4].晉書:  毅次擲得雉,大喜,褰衣繞床,叫謂同坐曰:「非不能盧,不事此耳。」裕惡之

[5].詩經 蕩:文王曰咨、咨女殷商。如蜩如螗、如沸如羹。小大近喪、人尚乎由行. 內奰于中國、覃及鬼方。 焦氏易林 -豐之: 坎:百狗同室,相嚙爭食。枉矢西流,射我暴國。高宗鬼方,三年乃服.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