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The Author
  • The Book
    • Ancient History of Manchuria : Redefining the past
    • Ancient History of Korea : Mystery Unveiled
    • Ancient History of Northeast Asia Redefined: 東北亞 古代史 新論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Blog
  • Order Now


Lee Mosol’s Book Collection
03 Jan

Etymology of Three Hahn:

Lee Mosol Blog 0 0

Etymology of Three Hahn:
Chen Shou left the phrase “有三種”, which means Three kinds of Hahn, named “馬韓,辰韓,弁韓”, and made a section of Byeon-Jin(弁辰傳). Though the names “馬韓,辰韓” being used without any disputes, “弁韓” had been recorded as “弁韓, 示韓” in Chinese , but Korean used only “卞韓” through history.
The adjective logograms “弁, 示, 卞” had been used in China for long time. The true meaning of “卞” is in the Jiaoshi Yilin (焦氏易林). He was righteous person punished badly. Western Zhou avoided the meaning righteous high officer “卞” to his cap “弁” made of young lamb skin.
Decree from emperor Taizong of Tang(克高麗白巖城詔) conformed the location of Byeon-Jin(弁辰傳) as the southwestern region of Manchuria .

Chen Shou meant the Hahns (汗人, 汗國, 韓人, 倭)who had been living in the He-river (海河)watershed area spread out from the Tian-Jin port to the East, North, and Western shore of the sea, namely the Sea of Hahns(翰海 瀚海) to Taiwan and Okinawa Islands.

삼한(三韓)의 이름자에 얽힌 사연들:
진수가 만들고 사용한 글자는 모호한 곳이 많아 풀이가 다양하다. 그가 남긴 한유삼종(有三種) 이란 문구가 삼한의 어원이다. 삼종이라 하여 나타난 삼한(三韓)이란 처음부터 글자 표기에 혼란이 많았다. 고, 광무제가 바꾸었다
강희자전에 따르면, 삼한(三韓)의 이름자(辰韓,示韓,馬韓)를 (글자 속에 잠긴 지역의 한계를 바꾸려고) 후한 광무제 (漢光武) 때에 다른 글자로 바꾸었다는 사료가 있다 . 앞에 인용한 후한서 동이전을 보라고 했다 . 꼬까리 변(弁)자를 음과 뜻이 비슷한 법 변(卞)자로 바꾸었다 . 변한 (弁韓)이란 글자를 오직 한국에서 만이 변한 (卞韓)이라고 기록 했다.
이렇게 글자 풀이를 추적하면 삼한의 어원이 나타난다.
Byeon-hahn 弁韓, 卞韓 Shee-hahn示韓은 모두 법 변(卞)자는 이아 설문해자등 자서(字書)와 주역 주례(周易. 周禮)에는 없다. 초씨역림에는 두 글자를 “羔羊皮弁, 非卞氏”다른 뜻으로 썼다. 비변씨보(非卞氏寶)란 문구가 있다. 굴욕을 당하고 아무런 소득이 없다고 했다 . 주족은 빛을 숭상하던 비변씨 (非卞氏)를 삭제했다. 시경과 주례에는 꼬까리 변(弁: 冠弁,弁師)으로 실렸다. 이 두 글자는 각종 선진문헌에 나타난 글자다. 세 글자(弁, 卞, 示韓)는 모두 중원에서 써오던 글자로 같은 이름이다 . 진수는 서주시절에 바꾸었던 글자를 사용하여 [弁辰韓]이란 편명이름을 만들었다.

진수가 남긴 관직명에서도 추적 된다:
삼국지 한전과 변진전에 여러 작은 별읍(別邑)이 있고 각각 거수(渠帥)가 존재하는데 큰 것은 신지(臣智)라 하고 그 다음은 험측(險側), 그 다음은 번예(樊濊)가 있다 . 옛적에 거괴(渠魁)라 하던 거수(渠帥)와 신지(臣智)란 관명이 옛부터 삼국시대 이후에까지 중원에도 있었다 . 신라와 고구려 초기 본기에는 예맥거수(濊貊渠帥, 貊渠帥)란 글자가 있다 . 통전에는 변방 동이 진한과 변진(辰韓, 弁辰)편에 같은 관명이 실렸다. 동이의 영역이 서언왕 (徐偃王)이 다스리던 중국 해안선에 퍼져 아홉 종류가 있다고 했다 . 동이들이 한해의 동북서 해안에 살았다는 뜻이다.

삼한의 한 부류가 종국 동해안에 살았다는 증거가 여러 곳에 있다.
대만을 동이가 사는 섬이라 이주(夷洲)라고 했다. 그곳 사람들은 진시황이 방사 서복(方士徐福)의 말을 듣고 불사초를 찾아 찾아 오라고 젊은이 수천명을 발해만에서 떠네 보냈다는 사람들의 후손이라 했다.
발해만 동남쪽 연안에 나타났던 창해군 (滄海之郡)이 2년후에 사라젔다. 배를 타고 다른 곳으로 떠났다는 증거다.
동오의 손권이 고구려와 공모하여 조위를 치려고 사신을 보냈다. 고구려와 동오의 사신은 해상로를 관장하던 대륙백제 사람들이었다. 후에는 강동에 살던 부족이 중원의 옥쇄를 잡아 북제를 건국 했다.
명나라때 편찬된 욱리자(郁離子)에는 삼한부여(三韓扶餘)라 했다 . 이조 후기 이규경(李圭景)의 삼한시말 변증설(三韓始末辨證說)에는 고연무의 일지록 내용을 인용하여 고구려 부여 한예(駒麗、扶餘、馯、貊之屬)가 모두 해동제리라 했다 . 후에는 일지록(日知錄)에 삼한이 한반도 남쪽과 구주열도에 살고있다고 했다. 중원 해안에서 한해의 동남쪽 도서에 흐터져 살았다는 뜻이다.

진수는 천진 당산 일대에서 중국 본토 해안에 있던 고조선의 후예들은 무시하고 한반도와 만주영역을 삼한 땅으로 묘사 했다. 변한을 뜻한 시한“弁韓.示韓”은 다같이 일월성 삼신에 예식을 치루던 한(韓) 이란 뜻이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고려사절요등 한국기록에만 나타나는 변한 (卞韓)이 옳은 표기다 . 삼한이란 낱말은 한해 (翰海 瀚海)동북서 세 해안에 韓이 살았다는 뜻이다.

끝. January 3, 2020


Facebook

About the Author

Written by Lee Mosol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cent Posts

  • Gojuk-Guk was Zhongshan state
  • 삼한 (三韓)땅 청구(靑丘)의 유래: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2. 高麗本孤竹國
  • 고조선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Story about the Geummidal
  • Chapter 1: The Birthplace of Ancient Korea (古朝鮮). Session 2: How to Confirm the New Theory

Recent Comments

  • Helen Hwang on 마지막 수도 금미달 (今彌達) 전후 관계:
  • Lee Mosol on 호타하(滹沱河)에서 찾은 한국 상고사:
  • Lee Mosol on Etymology of China Part II 南詔. 운남성에 있던 支那皇帝가 Cina 의 어원이다.
  • Lee Mosol on Media
  • Lee Mosol on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

Archives

  • March 2023
  • February 2023
  • January 2023
  • August 2022
  • July 2022
  • April 2022
  • March 2022
  • January 2022
  • December 2021
  • November 2021
  • October 2021
  • September 2021
  • August 2021
  • July 2021
  • June 2021
  • March 2021
  • February 2021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July 2018
  • March 2018
  • February 2018
  • December 2017
  • November 2017
  • October 2017
  • September 2017
  • August 2017
  • July 2017
  • June 2017
  • May 2017
  • April 2017
  • March 2017
  • February 2017
  • January 2017
  • December 2016
  • November 2016
  • October 2016
  • September 2016
  • August 2016
  • July 2016
  • June 2016
  • May 2016
  • October 2015
  • September 2015
  • July 2015
  • May 2015
  • April 2015
  • November 2014

Categories

  • Blog
  • Media

Meta

  • Log in
  • Entries feed
  • Comments feed
  • WordPress.org


  • Home
  • The Author
  • The Book
  • Excerpt
  • Reviews
  • Works
  • Contact
  • Media
  • Order Now

Copyright © 2014. Lee Mosol, MD, MPH. All rights reserved.
 
Cleantalk Pixel